Nazi architecture

나치 건축은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 정권이 1933년부터 1945년 (정권) 붕괴에 이르기까지 추진한 건축으로, 나치 독일의 도시 계획과 연관되어 있다. 이 건축은 세 가지 형태로 특징지어진다. 첫째, 알베르트 슈페어의 설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단순화된 신고전주의; 둘째, 특히 알프스 지역의 전통적인 농촌 건축에서 영감을 얻은 토속적 양식; 셋째, 주요 기반 시설과 산업 및 군사 단지를 위해 사용된 실용주의적 양식이다. 나치 이데올로기는 건축에 대해 다원주의적 태도를 취했으나, 히틀러 자신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과거에 대한 어리석은 모방”을 반대하는 글을 썼다.
Nazi architecture is the architecture promoted by Adolf Hitler and the Nazi regime from 1933 until its fall in 1945, connected with urban planning in Nazi Germany. It is characterized by three forms: a stripped neoclassicism, typified by the designs of Albert Speer; a vernacular style that drew inspiration from traditional rural architecture, especially alpine; and a utilitarian style followed for major infrastructure projects and industrial or military complexes. Nazi ideology took a pluralist attitude to architecture; however, Hitler himself believed that form follows function and wrote against “stupid imitations of the past”.
나치의 공식 건축 양식은 고전주의와 유사하지만, 보는 이들에게 남기는 인상에서 구별된다. 나치는 건축 양식을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전달하고 강요하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평지붕, 수평적 확장, 통일성, 장식의 부재와 같은 형식적 요소들은 “단순함, 균일성, 기념비성, 견고함, 영원성의 인상”을 만들어냈는데, 이는 나치당이 자신들을 그렇게 보이게 하고자 한 방식이었다.
While similar to Classicism, the official Nazi style is distinguished by the impression it leaves on viewers. Architectural style was used by the Nazis to deliver and enforce their ideology. Formal elements like flat roofs, horizontal extension, uniformity, and the lack of décor created “an impression of simplicity, uniformity, monumentality, solidity and eternity,” which is how the Nazi Party wanted to appear.
그리스와 로마의 영향 또한 나치 건축과 타이포그래피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들은 고대 로마와 그리스의 기념비적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권력의 감각을 창출했기 때문이다. 또한 나치 정권은 기능주의와 단순성을 강조했던 바우하우스 운동을 폐쇄했다.
Greek and Roman influence could also be seen in Nazi architecture and typography, as they drew inspiration from monumental architecture of ancient Rome and Greece to create a sense of power. The Nazis also shut down the Bauhaus movement, which emphasized functionalism and simplicity.
나치 정권은 또한 현대 미술을 독일 문화에 해로운 것으로 규탄하기 위해 여러 차례 “퇴폐 미술” 전시회를 열었다. 이로 인해 바우하우스 운동의 구성원들을 포함한 많은 예술가와 건축가들이 박해를 받게 되었다.
The Nazi regime also staged several “Degenerate Art” exhibitions to condemn modern art as harmful to German culture. This led to the persecution of many artists and architects, including members of the Bauhaus movement.
폭스바겐 역시 나치 건축과 산업 디자인의 산물이었다. 히틀러는 페르디난트 포르쉐(1875-1951)에게 모든 독일인이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국민 자동차”를 설계하도록 의뢰했으며, 그 결과 폭스바겐 비틀이 탄생하게 되었다.
The Volkswagen was also a product of Nazi architecture and industrial design. Hitler commissioned Ferdinand Porsche to design a “people’s car” that was supposed to be affordable and accessible to all Germans, which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he Volkswagen Beetle.
아들러호르스트 벙커 단지는 파흐베르크(반목조) 오두막들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였다. 1939년과 1940년에 뉘른베르크에서는 프랑켄 지방의 반목조 가옥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 일곱 채가 건설되었다.
Adlerhorst bunker complex looked like a collection of Fachwerk (half-timbered) cottages. Seven buildings in the style of Franconian half-timbered houses were constructed in Nuremberg in 1939 and 1940.
독일계 유대인 건축가들은 활동을 금지당했으며, 예를 들어 에리히 멘델손(1887-1953)과 율리우스 포제너(1904-1996)는 1933년에 망명하였다.
German Jewish architects were banned, e.g. Erich Mendelsohn and Julius Posener emigrated in 1933.
강제 노동
Forced labor
새로운 건물의 건설은 나치 이데올로기를 재확인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수행했다. 플로센뷔르크 등지에서 슈츠슈타펠(히틀러 친위대)은 강제노동 수용소를 세워 제3제국의 포로들에게 석재 채굴과 벽돌 제조를 강요했으며, 이 자재의 상당량은 알베르트 슈페어가 베를린 재건 및 독일 내 다른 프로젝트에 직접 사용했다. 이러한 신축 건물들 또한 강제노동자들에 의해 지어졌다. 작업 환경은 가혹했으며, 많은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 같은 채석과 건설 과정은 나치가 정치적 및 경제적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면서, 동시에 자신들의 이념적 표현 목표를 충족시키는 건축물을 만들어내는 수단이 되었다.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served other purposes beyond reaffirming Nazi ideology. In Flossenbürg and elsewhere, the Schutzstaffel built forced-labor camps where prisoners of the Third Reich were forced to mine stone and make bricks, much of which went directly to Albert Speer for use in his rebuilding of Berlin and other projects in Germany. These new buildings were also built by forced-laborers. Working conditions were harsh, and many laborers died. This process of mining and construction allowed Nazis to fulfill political and economic goals simultaneously while creating buildings that fulfilled ideological expression goals.

그리스와 로마의 영향
Greek and Roman influence
히틀러는 로마 제국과 그 건축에 깊이 매료되어 있었으며, 이를 “결핍된 신고전주의”라 불리는 가장 기본적인 것만 남긴 양식으로 모방했다. 1934년 그는 알베르트 슈페어(1905-1981)를 건축 책임자로 임명하고, 오스트리아 린츠에 계획된총통 박물관(퓌러무제움)을 포함한 거대한 공공건축물 건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히틀러는 오래전부터 거대한 인민의 전당(폴크스할레 또는 그로스 할레)에 대한 구상을 품고 있었고, 슈페어는 당시 존재하는 어떤 건물보다도 압도적인 규모의 설계를 내놓았다. 이 건물은 18만 명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돔의 크기는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 돔보다 16배나 컸다. 이 건물은 로마나 그리스의 건축물처럼 영적이거나 종교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대신, 경외감과 나치 국가의 절대적 권위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Hitler was fascinated by the Roman empire and its architecture, which he imitated with a stripped-down style called “starved neo-Classicism.” In 1934, he put Albert Speer in charge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began an ambitious program to create massive public buildings, including a Führermuseum in Linz, Austria. Hitler had a long-standing vision for a monumental Volkshalle or Grosse Halle, and Speer created a design for a building that would dwarf any structure in existence at the time, with a seating capacity of 180,000 and a dome 16 times larger than that of St. Peter’s Basilica in Rome. The building was meant to inspire awe and emphasize the power of the Nazi state, rather than any spiritual or religious sentiment unlike Roman or Greek buildings.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
나치는 글라이히샬퉁(동기화)이라 불리는 과정을 통해 사회의 모든 측면을 통합하고자 했다. 그것은 나치가 권력을 장악하자마자 즉시 시작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메시지를 강요하기 위해 선전, 검열, 대규모 집회를 이용했다.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서체)는 히틀러 자신이 선호했던 고전 로마 제국의 문자 형태에서 영감을 받았다.
The Nazis wanted to bring all aspects of society together under a process called Gleichschaltung. It began immediately after the Nazis came into power. They used propaganda, censorship, and mass rallies to enforce their message. The new typography was inspired by Classical Roman Imperial letterforms, which was Hitler’s own preference.

벨트하우프슈타트 게르마니아
Welthauptstadt Germania
이 운동의 최고 성과는 세계수도 게르마니아(벨트하우프슈타트 게르마니아)가 될 예정이었다. 이는 나치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전제로 독일 수도 베를린을 재건하려는 계획이었다. 프로젝트를 총괄한 알베르트 슈페어는 이 새로운 도시의 대부분의 설계도를 제작했다. (그러나) 1937년부터 1943년 사이에 건설된 “세계수도”는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계획의 핵심은 베를린 전승기념탑을 중심에 두고 동서 축을 기반으로 한 거대한 신고전주의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의회(라이히슈타크)나 대전당(그로세 할레, 건설되지 않음) 같은 주요 나치 건축물들이 넓은 대로를 따라 배치될 예정이었다. 도시 내 많은 역사적 건물들이 계획된 건설 구역에서 철거되었다. 그렇지만, 제3제국의 패배로 인해, 이 작업은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
The crowning achievement of this movement was to be Welthauptstadt Germania, the projected renewal of the German capital Berlin following the Nazis’ presumed victory of World War II. Speer, who oversaw the project, produced most of the plans for the new city. Only a small portion of the “World Capital” was ever built between 1937 and 1943. The plan’s core features included the creation of a great neoclassical city based on an east–west axis with the Berlin Victory Column at its centre. Major Nazi buildings like the Reichstag or the Große Halle (never built) would adjoin wide boulevards. A great number of historic buildings in the city were demolished in the planned construction zones. However, with defeat of the Third Reich, the work was never started.

나치 오스트리아
Nazi Austria
그로스비인 (대비엔나)
Greater Vienna
대비엔나는 제3제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옛 비엔나보다 세 배나 더 거대한 규모였다. 1942년부터 1944년 사이에 세 쌍의 콘크리트 대공포탑이 건설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오늘날 ‘하우스 데스 메어레스(‘바다의 집’이라는 뜻)’로 알려져 있고, 또 다른 하나는 (현재 폐관된) 현대미술 개방형 수장고로 사용되었다.
Greater Vienna was the second-largest city of the Reich, three times greater than old Vienna. Three pairs of concrete flak towers were constructed between 1942 and 1944; one of them is known as Haus des Meeres, another one, Contemporary Art Depot (currently closed).

린츠
Linz
린츠(Linz)는 퓌러슈타트(총통 도시) 중 하나였다. (그러나) 완공된 것은 니벨룽겐 다리 뿐이었다.
Linz was one of the Führer cities. Only Nibelungen Bridge was constructed.
주택 건설
Housing construction
나치 정권은 수많은 아파트를 건설했는데, 베를린에만 약 10만 채가 지어졌으며, 그 대부분은 프렌츨라우어 베르크 지역에 위치한 그뤼네 슈타트 같은 주거단지 형태였다. 폭스바겐의 도시인 볼프스부르크는 원래 나치에 의해 건설되었다.
The Nazis constructed many apartments, 100,000 of them in Berlin alone, mostly as housing estates e.g. in Grüne Stadt (Green Town) in Prenzlauer Berg. Volkswagen’s city Wolfsburg was originally constructed by the Nazis.
바우하우스에 대한 반대
Opposition to Bauhaus
바우하우스 운동은 1919년 독일 바이마르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예술가와 장인이 한곳에 모여 각자의 기교를 함께 추구하며 숙달하도록 한 학교였다. 이 운동의 목표는 예술가와 디자이너를 위한 유토피아적 사회를 창조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의 초기 버전은 발터 그로피우스(1883-1969)의 지도 아래 9년간 운영되었다. 이 학교는 그 후 1925년에 데사우로 이전했고, 그곳에서 그로피우스는 바우하우스 건물과 여러 다른 건물을 설계했다. 학교는 1932년에 베를린으로 옮겼지만, 나치의 지속적인 탄압 아래 결국 문을 닫았다.
The Bauhaus movement began in 1919, in Weimar, Germany. It was a school that brought together artists and craftspeople to pursue and master their crafts together in one place. The movement’s aim was to create a utopian society for artists and designers. The first version of the school was under the leadership of Walter Gropius for nine years. The school then moved to Dessau in 1925, where Gropius designed the Bauhaus Building and several other buildings. The school moved to Berlin in 1932, but under constant harassment by the Nazis, it finally closed.
나치 건축의 지지자들
Proponents of Nazi architecture
- 헤르만 바텔스
- 페터 베렌스
- 게르만 베스텔마이어
- 폴 보나츠
- 볼데마르 브링크만
- 발터 브루크만
- 리하르트 에르미쉬
- 고트프리트 페더
- 로데리히 픽
- 테오도어 피셔
- 레온하르트 갈
- 헤르만 기슬러
- 빌헬름 그레베
- 프리츠 회거
- 오이겐 회니히
- 클레멘스 클로츠
- 빌헬름 크레이스
- 베르너 마치
- 콘라트 논
- 루트비히 러프
- 프란츠 러프
- 에른스트 자게비엘
- 폴 슈미테너
- 율리우스 슐테 포롤린데
- 파울 슐체 나움부르크
- 알렉산더 폰 센저
- 알베르트 슈페어
- 파울 트루스트
- 루돌프 볼터스
- Hermann Bartels
- Peter Behrens
- German Bestelmeyer
- Paul Bonatz
- Woldemar Brinkmann
- Walter Brugmann
- Richard Ermisch
- Gottfried Feder
- Roderich Fick
- Theodor Fischer
- Leonhard Gall
- Hermann Giesler
- Wilhelm Grebe
- Fritz Höger
- Eugen Hönig
- Clemens Klotz
- Wilhelm Kreis
- Werner March
- Konrad Nonn
- Ludwig Ruff
- Franz Ruff
- Ernst Sagebiel
- Paul Schmitthenner
- Julius Schulte-Frohlinde
- Paul Schultze-Naumburg
- Alexander von Senger
- Albert Speer
- Paul Troost
- Rudolf Wolters
출처(텍스트): “Nazi architecture”, Wikipedia(영문), 2025-10-23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