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gara Style

나가라 스타일 또는 나가라 건축 양식은 힌두 사원 건축 양식으로, 북인도, 중인도, 서인도와 동인도(벵골 지역 제외), 특히 말와, 라지푸타나, 칼링가 지역 주변에서 널리 유행했다. 나가라 양식으로 분류되는 사원들은 마디아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라자스탄, 우타라칸드, 히마찰프라데시, 구자라트, 오디샤, 자르칸드, 비하르, 마하라슈트라, 안드라프라데시(오디샤 접경 지역), 서벵골(남서부 및 순다르반 지역)에서 발견된다.
Nagara Style or Nagara architectural style is a Hindu style of temple architecture, which is popular in Northern, Central India, Western and Eastern India (except the Bengal region), especially in the regions around Malwa, Rajputana and Kalinga. Temples classified as Nagara Style are found in Madhya Pradesh, Uttar Pradesh, Rajasthan, Uttarakhand, Himachal Pradesh, Gujarat, Odisha, Jharkhand, Bihar, Maharashtra, Andhra Pradesh (areas bordering Odisha) and West Bengal (southwest and Sundarbans areas).
5세기에 들어, 사원에서 단순하게 굽은 형태의 시카라(첨탑)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초기 사원들은 초기 나가라 양식으로 분류된다. 초기 나가라 양식은 7세기에 이르러 주류 나가라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In fifth century, the use of simple curved Shikhara (spires) begins in the temples; the earliest such temples being classified as Early Nagara Style. The Early Nagara Style was transformed into the Mainstream Nagara Style in the seventh century.
이 건축 양식은 힌두 사원 건축의 두 가지 주요 양식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드라비다 건축 양식이다. 나가라 양식은 서로 약간씩 차이가 나는 세 가지 하위 양식 또는 학파로 나뉜다. 그것들은 오리사 학파, 찬델 학파, 솔란키 학파이다.
This architectural style is one of the two main styles of Hindu temple architecture, the other being the Dravidian architectural style. Nagara style has three sub-styles or schools, which differ slightly from each other. The sub-styles or schools are Orissa school, Chandel school and Solanki school.
북인도에서 발달한 이 사원 양식은 단순한 석조 기단 위에 세워진다. 사원에서는 하나 이상의 시카라를 볼 수 있지만, 가장 초기의 사원들은 오직 하나의 시카라로만 구성된다. 가르바그리하(본존실)는 항상 가장 높은 시카라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나가라 양식의 특징은 힌두 사원 건축의 드라비다 양식에서 널리 사용되는 경계벽이 없다는 점이다. 나가라 양식의 일부 사원 단지와 개별 건축물들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Developed in North India, this style of temple is built on a simple stone platform. One or more Sikharas are observed in temples, but the earliest temples consist of only one Sikhara. The garbhagriha is always located directly below the highest Sikhara. Also, the Nagara Style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boundary wall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Dravidian architectural style of Hindu temple architecture. Some temple complexs and individual structures in the Nagara Style are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역사
History
기원 및 형성 단계
Origin and formative stage
나가라 사원 양식은 굽타 시대 사원의 구조에서 발전하였다. 5세기경부터 나가라 사원 양식의 전개가 시작되어, 세 단계의 형성기를 거쳐 현재의 형태에 이르게 되었다.
The Nagara temple style evolved from the Gupta structural temples. From about the 5th century onwards, the development of Nagara temple style began, which passed through three classes of formative stage and got its present form.
나가라 양식의 학파
Schools of Nagara Style
나가라 건축 양식은 인도의 북부, 서부, 동부 지역에서 관찰된다. 이 양식은 그 기원 이래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형태에 이르렀다. 지역마다 시간이 흐르며 서로 다른 변형이 나타났고, 이는 하위 양식으로 인정되었다. 나가라 건축 양식의 하위 양식에는 찬델, 솔란키, 오디샤 양식이 있다.
Nagara architectural style are observed in northern,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India. Since its origin, this style has gone through various changes to its present form. Variations within the style have developed over time from region to region, which have come to be recognized as sub-styles. Nagara architectural style has three sub-styles namely Chandel’ ‘, Solanki and Odisha sub-styles.
찬델라 학파
Chandela School
찬델라 학파 또는 찬델라 하위 양식은 인도 중부에서 기원하였다. 이는 (당시 제자카부크티라 불린) 분델칸드 지역을 지배한 찬델 왕조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 사원 건축 학파 혹은 하위 양식은 카주라호 학파 또는 하위 양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양식으로 지어진 사원들은 내벽과 외벽을 장식하는 세밀한 장식이 있다. 사원의 조각들은 (고대 인도 철학자) 바츠야야나의 『카마수트라』에서 영감을 받은 관능적 주제로 잘 알려져 있다. 사원 건축에는 주로 사암이 사용되었다.
The Chandela School or Chandela sub-style of temple construction originated in Central India. It was developed by the Chandel dynasty, the rulers of the Bundelkhand region (then called Jejakabhukti).This school or sub-style of temple construction is also known as Khajuraho School or sub-style. Temples built in this style have intricate carvings, which adorn the inner and outer walls. The sculptures in the temple are known for sensual themes, which were inspired by Vatsyayana’s Kama Sutra. Sandstones are main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emples.



솔란키 학파
Solanki school
솔란키 학파 또는 하위 양식은 인도 북서부, 특히 오늘날의 구자라트와 라자스탄 지역에서 기원하였다. 이 하위 양식이 확장되고 발전함에 따라, 솔란키 왕들은 이를 지원하고 장려하였다. 솔란키 하위 양식으로 지어진 사원의 벽은 조각 장식이 없었다. 사원 내부와 외부에서는 가르바그리하와 만다파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하위 양식의 사원들 옆에는 수르야 쿤드라 불리는 계단식 물탱크가 파여 있다. 이 하위 양식은 20세기 이후 마루-구르자라 학파 또는 하위 양식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This Solanki school or sub-style originated in northwestern India, particularly in the present-day Indian states of Gujarat and Rajasthan. As this sub-style expanded and developed, the Solanki kings provided support and encouragement. The walls of the temple, built in the Solanki sub-style, were without sculptures. Inside and externally the garbhagriha and mandapa are interconnected. A terraced water tank, known as Surya Kund, is excavated next to temples of this sub-style. This sub-style has also come to be known as the Māru-Gurjara school or sub-style since the 20th century.



오디샤 학파
Odisha School
오디샤 학파 또는 하위 양식은 인도 동부의 해안 지역, 특히 현재의 인도 오디샤 주와 오디샤와 접한 안드라프라데시에서 기원하였다. 이 사원 건축 학파 혹은 하위 양식은 칼링가 학파 또는 하위 양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The Odisha school or sub-style originated in the coastal regions of eastern India, especially the present Indian state of Odisha and Andhra Pradesh bordering Odisha. This school or sub-style of temple construction is also known as Kalinga School or sub-style.



출처(텍스트): “Nagara Style”, Wikipedia(영문), 2025-10-06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