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xteen Principles of Urban Design
‘도시 설계의 16개 원칙’(독일어 발음: 디 제히첸 그룬트제체 데스 슈테테바우스)은 1950년부터 1955년까지 독일민주공화국(GDR; 동독)에서 도시 계획을 위한 기본 모델이었다.
Die Sechzehn Grundsätze des Städtebaus, or The Sixteen Principles of Urban Design, were from 1950 until 1955 the primary model for urban planning in the GDR.
저자 중 한 사람은 바우하우스에서 공부한 건축가인 에드먼드 콜라인(1906-1992) 으로 , 그는 나중에 독일민주공화국 건축아카데미 부원장과 독일민주공화국 건축가연맹의 회장을 역임했다.
One of the authors was Edmund Collein, a Bauhaus trained architect, who later became vice-president of the Bauakademie der DDR (Building Academy of the GDR) and the president of the Bund der Architekten der DDR (Federation of Architects of the GDR).
16개 원칙
16 Principles
1950년 7월 27일, 독일민주공화국 정부 결정:
Decided by the Governmen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on 27 July 1950:
독일 전역의 건설에 영향을 미치게 될 우리 도시들의 도시 계획과 건축 설계는, 독일민주공화국의 사회 질서와 더불어 우리 독일인의 진보적 전통과 위대한 목표를 표현해야 한다. 이들은 다음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The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of our cities, which shall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all of Germany, must express the social order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as well as the progressive traditions and great goals of our German people. They shall adhere to the following principles:
1. 정주 형태로서의 도시는 우연히 생겨난 것이 아니다. 도시는 수세기에 걸친 경험을 통해 입증된 가장 풍부한 경제적, 문화적 공동체 정주의 형태이다. 도시는 그 구조적, 건축적 설계에 있어 국민의 정치적 삶과 민족적 의식의 표현이다.
1. The city as a form of settlement did not arise by chance. The city is the richest economic and cultural form of community settlement, proven by centuries of experience. The city is in its structural and architectural design an expression of the political life a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2. 도시 계획의 목표는 고용, 주거, 문화, 여가에 대한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조화롭게 충족하는 데 있다. 도시 계획의 방법론적 원칙은 자연적 조건, 국가의 사회·경제적 토대, 과학·기술·예술의 최고 성과, 경제의 요구, 그리고 국민의 문화 유산에 담긴 진보적 요소의 활용에 바탕을 둔다.
2. The goal of urban planning is the harmonious fulfillments of man’s basic rights to employment, housing, culture and recreation.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urban planning are based on the natural condition, on the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s of the state, on the highest achievements of science, technology and art, on the needs of the economy, and on the use of progressive elements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eople.
3. 도시 그 자체는 저절로 생겨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도시는 상당 부분 산업을 위한 산업에 의해 건설된다. 도시의 성장, 인구, 면적은 도시 형성 요인, 즉 지역적 의미를 넘어서는 산업, 행정기관, 문화시설에 의해 결정된다. 수도에서는 도시화 요인으로서의 산업의 중요성이 행정기관과 문화시설의 중요성에 비해 부차적이다. 도시 형성 요인의 결정과 승인은 정부가 결정하는 사항이다.
3. Cities, per se, do not arise and do not exist. To a significant extent, cities are built by industry for industry. The growth of the city, the population, and the area are determined by city-forming factors, that is, from industry, governing bodies, and cultural sites, insofar as they have more than local significance. In the capital, industry as an urbanization factor is of secondary importance to administrative bodies and cultural sites. The precise discernment and codification of city-forming factors is a matter determined by government.
4. 도시의 성장은 효능에 종속되어야 하며 일정한 한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인구와 면적에서의 도시의 과도한 성장은 구조 내 혼란(분규, 충돌)을 제거하기 어렵게 하고, 문화 생활의 조직과 주민의 일상적 돌봄에 혼란을 초래하며, 기업 활동과 산업 발전 양쪽에서 행정적 복잡성을 야기한다.
4. The growth of the city must be subordinate to efficacy and remain within certain limits. An overgrown city, its population, and its area lead to difficulties in eliminating tangles in their structure, lead to entanglements in the organization of cultural life and the daily care of the population, and lead to administrative complications, both in business and in the development of industry.
5. 도시 계획은 유기체론의 원칙에 기반해야 하며, 해당 도시의 결함을 시정할 때 그 도시의 역사적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5. Urban planning must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organicism, and the consideration of a city’s historical structure in eliminating that city’s shortcomings.
6. 도심은 도시의 진정한 핵심을 형성한다. 도심은 해당 시민을 위한 정치적 중심지이다. 도심에는 가장 중요한 정치, 행정, 문화 시설들이 자리한다. 도심 광장에서는 정치적 시위, 행진, 축제일에 열리는 대중적 행사가 열린다. 도심은 가장 중요하고 기념비적인 건물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도시 계획의 건축적 구성을 좌우하고 도시의 건축적 실루엣을 결정한다.
6. The center forms the veritable core of the city. The center of the city is the political center for its population. In the city center are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cultural sites. On the squares in the city center one might find political demonstrations, marches and popular celebrations held on festival days. The center of the city shall be composed of the most important and monumental buildings, dominating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city plan and determining the architectural silhouette of the city.
7. 강변에 위치한 도시에서는 강과 제방이 도시의 주요 동맥이자 건축적 축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
7. In cities that lie on a river, the river and its embankments shall be one of the main arteries and architectural axes of the city.
8. 교통 순환은 도시와 도시민을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그것이 도시를 분절시키거나 일반 시민에게 방해가 되어서는 아니 된다. 통과 교통은 도심과 중심 지역에서 동떨어져 그 경계 밖이나 외곽 순환도로로 우회되어야 한다. 철도와 수로의 화물 운송 시설 역시 도시 중심 지역에서 멀리 떨어뜨려야 한다. 주요 도로의 위치를 정할 때는 주거 지역의 일관성과 평온함을 고려해야 한다. 주요 도로의 폭을 결정할 때, 도시 교통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러한 간선 도로의 폭이 아니라 교통 흐름의 수요를 적절히 완화하기 위한 교차로의 출구로서 중요하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Traffic circulation has to serve the city and its population. It should neither divide the city nor be cumbersome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raffic should be removed from the center and central district and rerouted outside its borders or to an outer ring. Equipment for the carriage of goods, such as rail- and canal-ways, should also be kept away from the central district of the city. Determining locations for main roads must take into account the coherence and tranquility of residential districts. In determining the width of main roa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width of these main thoroughfares is not of crucial importance to urban transportation, but rather as an outlet for crossroads in order to appropriately ease the demands of traffic flow.
9. 도시의 얼굴, 즉 그 고유한 예술적 형태는 광장, 주요 도로,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있는 대도시의 경우) 도심의 눈에 잘 띄는 건물들에 의해 규정된다. 스퀘어와 플라자는 도시 계획과 그 전체적인 건축적 구성을 위한 기반을 이루어야 한다.
9. The visage of the city-that is, its individual artistic form-shall be defined by squares, main streets, and prominent buildings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those largest cities containing skyscrapers). Squares and plazas shall serve as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planning of the city and for its overall architectural composition.
10. 주택가는 주거 구역으로 구성되며, 그 중심부는 구역 중심에 있을 것이다. 이들 주거 구역 주민들을 위해 그 안에는 필요한 모든 문화, 공공, 사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주택가 구조의 두 번째 측면은 주거 단지로, 이는 네 개의 주택 구조물을 묶어 형성되며, 그 안에 주민들의 일상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중앙 공원, 학교, 유치원, 탁아소를 배치한다. 이러한 주택가 내에서는 도시 교통을 허용해서는 안 되지만, 주거 지구나 주거 단지가 그 자체로 고립된 개체가 되어서도 안 된다. 그것들의 구조와 설계에는 도시 전체의 요구가 잠재되어 있다. 주거 구조물 자체는 계획과 설계에서 단지의 중요성을 이루는 세 번째 측면으로 기능한다.
Residential areas shall consist of housing districts, the cores of which shall be district centers. For the sake of the residents of these housing districts, in them shall be all necessary cultural, utility, and social services. The second aspect in the structuring of residential areas shall be the residential complex, which is formed by grouping together four housing structures, where there shall be located a central park, schools, kindergartens, and nurseries that serve the daily needs of the population. Urban transport must not be allowed within these residential areas, but neither the residential districts nor the residential complexes should be isolated entities in and of themselves. Latent in their structure and design are the demands of the city on a whole. The housing structures themselves function as a third aspect in the importance of complexes in planning and design.
11. 건강하고 평온한 생활 조건을 결정하는 요인은 빛과 공기에의 접근성만이 아니라, 인구 밀도와 배치 방향, 교통 체계의 발전도 포함된다.
11. Access to light and air are not the only determining factors for healthy and peaceful living conditions, but also population density and orientation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systems.
12. 도시를 정원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충분한 녹지를 확보하도록 유의해야 하지만, 뒤집어서는 안 될 원칙은 도시는 도시답게, 교외나 도시 밖에서는 농촌답게 산다는 것이다.
12. It is impossible to transform a city into a garden. Of course, care must be taken to provide sufficient greenery, but the principle not to overturn is that in the city one lives urbanistically, whereas on the outskirts or outside the city one lives rurally.
13. 다층의 고층 건물은 단층이나 2층 규모의 설계보다 더 경제적이다. 또한 대도시의 특성을 반영한다.
13. The many storey high-rise is more economical than a one- or two-storey design. It also reflects the character of the metropolis.
14. 도시계획은 건축설계의 기반이다. 어느 한 도시의 도시계획과 건축설계에서 핵심은 그 도시를 위한 고유하고 독자적인 모습을 창조하는 것이다. 건축은 사람들의 진보적 전통과 과거 경험을 모두 구현해야 한다.
14. Urban planning is the basis of architectural design. Central to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of a city is the creation of an individual and unique visage for that city. The architecture must embody both the progressive traditions as well as the past experiences of the people.
15. 도시계획은 건축설계와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구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오직 필수 건축 요소와 일상생활의 요구를 종합하는 것이다.
15. For urban planning, as for architectural design, there shall be no abstract scheme. Crucial are only the summarization of essential architectural factors and the demands of daily life.
16. 도시 계획 작업과 동시에, 그리고 그에 부합되게, 우선적으로 완공될 구역을 대상으로 한 특정 주거지의 계획·개발 설계와, 질서 정연한 주거 블록을 갖춘 광장과 주요 가로에 대한 설계를 완료해야 한다.
16. Simultaneously and in accordance with the work on a city plan shall be completed designs for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specific neighborhoods, as well as plazas and main street with neatly organized housing blocks, whose construction will be completed first.
시행
Implementation

국가건축법이 채택된 다음 날인 1950년 9월 7일, 심하게 손상된 베를린 궁전의 철거가 시작되었다. 계획은 프랑크푸르터 슈트라세에서 알렉산더플라츠, 쾨니히슈트라세(현 라트하우스슈트라세)와 운터 덴 린덴을 거쳐 브란덴부르크 게이트에 이르는 90m 폭 도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중앙 축”을 통해 브란덴부르크 문과 알렉산더 광장 사이에 새로운 대표적 대로인 ‘마기스트랄레’가 조성될 예정이었으며, 그 중심부에는 마르크스-엥겔스 광장에 위치한 “도시의 왕관”이라 불리는 기념비적 고층 건물이 자리하여 궁전 대신 중앙 정부 청사가 될 계획이었다. 1951년, 스탈린알레(현재: 칼-마르크스-알레)가 동독 최초의 사회주의 대로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건설의 첫 단계는 1952년부터 1958년까지 진행되었으며, ‘호흐하우스 안 데어 베버비제’의 건축가인 헤르만 헨젤만(1905-1995)이 설계했다. 1960년 프랑크푸르터 문 공사가 완료되었을 때, 이 거리의 역사주의 양식은 이미 시대에 뒤떨어져 거의 부끄러울 정도로 인식되고 있었다. 다른 주요 프로젝트로는 드레스덴의 알트마르크트, 라이프치히의 로스플라츠, 그리고 로스토크에서 실현된 랑게슈트라세가 있었다. 소련이 1954년 새 건축 지침을 채택하여 표준화를 강화하고 고가의 장식 요소를 배제하도록 요구함에 따라, 1955년부터 동독에서는 도시 개발의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슈트라우스베르거 플라츠와 알렉산더 플라츠 사이의 스탈린알레 2단계 구간은 산업적 미학으로 건설되었다.
By September 7, 1950, one day after the adoption of a national building law, the demolition of the heavily damaged Berlin City Palace began. The plan was to build a 90-meter wide stretch of road from the Frankfurter Straße via Alexanderplatz, Königstraße (now Rathausstraße) and the street Unter den Linden to the Brandenburg Gate. The “central axis” was to create a new representation Magistrale arise between the Brandenburg Gate and Alexanderplatz, the center of the monumental height dominant – should be in place of the castle, the central government building – as a “city crown” the Marx-Engels-Platz. In 1951, Stalinallee emerged as the first Socialist avenue in the GDR. The first stages of construction was from 1952 to 1958, designed by Hermann Henselmann, architect of Hochhaus an der Weberwiese. When the work at Frankfurter Tor was completed in 1960, the historicist style of the avenue was already outdated and perceived almost bashfully. Other major projects were in Dresden at the Altmarkt, in Leipzig on Roßplatz and at the Long Street realized in Rostock. From 1955 a new phase of urban development in the GDR took place after the Soviet Union adopted new directives for 1954 architecture, which called for greater standardization and the waiving of expensive ornamentation. The second phase of Stalinallee-between Strausberger Platz and Alexander Platz-was therefore built in an industrial aesthetic.
출처(텍스트): “The Sixteen Principles of Urban Design”, Wikipedia(영문), 2025-09-24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