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uxe
포퓰럭스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미국에서 유행했던 소비자 문화와 미학이다. ‘포퓰럭스’라는 용어는 ‘포퓰러(대중적)’과 ‘럭셔리(사치스러운)’를 합친 합성어이다.
Populuxe was a consumer culture and aesthetic in the United States popular in the 1950s and 1960s. The term populuxe is a portmanteau of popular and luxury.

설명
Description
이 양식은 보통 곡선과 각이 어우러진 형태의 파스텔색 플라스틱, 그리고 크롬을 흉내 낸 금속광택 플라스틱 장식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나 시계 같은 소비재 디자인에서 느껴지는 사치스러운 감각을 불러일으켰다. 건축물에는 파스텔 색조, 기하학적 형태, 그리고 스터코 마감, 판금, 그리고 종종 스테인리스 강으로 된 표면이 흔히 사용되었다.
The style evoked a sense of luxury with the design of consumer goods such as radios and clocks typically featuring pastel-colored plastic in curved and angular shapes and metalized plastic trim that simulated chrome. Structures commonly used pastels, geometric shapes, and surfaces of stucco, sheet metal, and often stainless steel.
포퓰럭스는 사람들이 준-사치품을 사치품이자 대중 소비재로 인식하기 시작한 뒤에 등장했다. 또한 이것은 일상적인 물질 상품들에 사치스러운 마감을 갈망하는 대중문화로 해석되기도 한다. 포퓰럭스는 20세기 초 포디즘의 한 파생물로 여겨지며, 모방적 성향의 셀러브리티 문화가 시작되면서 촉진되었다고 전해진다.
Populuxe emerged after people began seeing semi-luxury commodities as luxury ware and mass consumer goods. It is also interpreted as a mass culture that desired luxury finishes on everyday material goods. It is said to be an offshoot of Ford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also facilitated by the start of the emulative celebrity culture.
다양한 미술가,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가구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건축가의 작업이 포퓰럭스 운동과 관련되어 있다. 포퓰럭스는 소비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미드센추리모던 건축, 스트림라인모데른, 구기 건축(두왑 건축), 그리고 그 밖의 미래주의적이고, 기술-중심적이며, 낙관적인 성격을 지닌 미래주의 및 우주시대 영향을 받은 디자인 미학들과 서로 겹쳐진다.
The work of various artists, designers, graphic designers, furniture designers, interior designers, and architects is associated with the populuxe movement. Populuxe is associated with consumerism and overlaps with mid-century modern architecture, Streamline Moderne, Googie architecture (Doo Wop architecture), and other futuristic and Space Age influenced design aesthetics that were futurist, technology-focused, and optimistic in nature.
- 출처: “Post-postmodernism”, Wikipedia(영문), 2025-11-2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 에디터: 건축편집자
-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