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ttagecore

코티지코어는 이상화된 전원 생활 방식을 추구하는 인터넷 미학과 하위문화이다. 이 미학은 전통적이고 토속적인 건축, 의복, 인테리어 디자인, 공예를 중심으로 한다. 주로 유럽 농촌의 시각적·물질적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코티지코어는 2018년 텀블러에서 처음 명명되었으며, 고블린코어와 다크 아카데미아 같은 유사한 인터넷 미학과 관련이 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하위문화인 코티지코어는 젊은 세대가 직면한 경제적 압박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했다; 이 미학은 지속가능성, 농본주의 및 느린 삶을 강조한다.
Cottagecore is an internet aesthetic and subculture concerned with an idealised rural lifestyle. The aesthetic centres on traditional and vernacular architecture, clothing, interior design and crafts. Based primarily on the visual and material culture of rural Europe, cottagecore was first named on Tumblr in 2018 and is related to similar internet aesthetics including goblincore and dark academia. A subculture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cottagecore developed as a response to economic pressures faced by young people; the aesthetic emphasises sustainability, agrarianism and slow living.
영국 영어에서 ‘코티지’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작고 아늑한 건물을 의미한다. 영국 봉건 시대에는 코티지에서 코터(농노; 소작농)들이 거주하며 영주를 섬겼다. 현재 이 용어는 소박하거나 전통적인 양식의 다양한 소형 주택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코티지는 종종 격식 없는 디자인과 장식용 및 식용 식물의 혼합을 우선시하는 코티지 정원과 연관된다. 특히 코티지는 비도시적 풍경과 관련이 깊다. 코티지와 코티지 가든의 미학은 농촌 주택 또는 보다 도시적인 환경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In British English, the term cottage typically denotes a small, cozy building. During English Feudalism, cottages housed cotters (peasant labourers), who served their manorial lord. The term now describes many kinds of small houses of rustic or traditional style. Cottages are often associated with cottage gardens, which prioritise informal design and a mixture of ornamental and edible plants. Notably, cottages are associated with non-urban landscapes. The aesthetics of cottages and cottage gardens may be evoked in rural houses or in more urban environments.
미적 특질과 라이프스타일 요소
Aesthetic and lifestyle elements
코티지코어는 지지자들에게 “동경의 형태를 띤 향수”(경험한 적 없는 것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로부터 하나의 탈출구 역할을 한다. 《뉴욕타임스》는 이를 허슬 컬처(과로 문화)와 개인 브랜딩의 도래에 대한 반응으로 묘사했다. 《가디언》은 이를 “야외의 건전한 순수함을 우상화하기 위해 고안된 시각적·생활양식적 운동”이라고 평했다. 코티지코어는 현대 세계의 위험으로부터의 탈출구로서 단순함과 전원생활을 강조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소셜미디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지지자들에게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장려함으로써, 코티지코어는 신체적·정신적 자기-돌봄을 촉진할 수도 있다.
Cottagecore satisfies an “aspirational form of nostalgia” for its proponents, as well as an escape from many forms of stress and trauma. The New York Times described it as a reaction to hustle culture and the advent of personal branding. The Guardian called it a “visual and lifestyle movement designed to fetishise the wholesome purity of the outdoors.” Cottagecore emphasizes simplicity and a pastoral life as an escape from the dangers of the modern world. It became highly popular on social me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encouraging proponents to spend time in nature, cottagecore may facilitate physical and mental self-care.
패션
Fashion
2000년대와 2010년대의 힙스터 패션은 코티지코어의 여러 미학적 요소를 예견했다. 빈티지 의류, 수염, “진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과거 세대의 미학을 차용하려는 움직임은 힙스터 트렌드가 약화되기 시작한 후 급성장하는 코티지코어 하위문화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초원풍 의상, 개척자 의상, 자영농 의상, 빅토리아 양식 실루엣, 울, 칼리코와 머슬린 (면직물), 버튼 다운, 그리고 낡은 가죽은 코티지코어 스타일에 자주 통합된다.
Hipster fashion of the 2000s and 2010s prefigured many of the aesthetics of cottagecore. Continued interest in vintage clothing, facial hair, “authenticity”, and co-opting the aesthetics of past generations fueled a burgeoning cottagecore subculture after the hipster trend began to wane. Prairie clothing, pioneer clothing, homesteader clothing, Victorian silhouettes, wool, calico muslin, button downs, and worn leather are often incorporated into the cottagecore style.

분석 기업 에디티드는 꽃무늬 프린트와 줄무늬 외에도 “구세계적이고 여성스러운 형태와 디테일이 이 미학—밀크네이드 네크라인, 퍼프 소매, 러플, 초원풍에서 영감을 받은 미디 드레스—에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마케팅 시사 해설자들은 이 트렌드가 이미 유행 중이던 1970년대풍 드레스, 레이스 장식, 데님과 잘 어울리며, 슬로우 패션 트렌드를 보완한다고 평했다. 바체바, 도엔, 뱀파이어 와이프 같은 브랜드들은 코티지코어 미학에 부합하는 프릴 장식과 기발한 플로럴 드레스로 인기를 얻었다.
Analytics company EDITED identified that, besides floral prints and stripes, “Old-world, feminine shapes and details are integral to this aesthetic—milkmaid necklines, puff sleeves, ruffles and prairie-inspired midi dresses.” Marketing commentators noted that the trend fits with already available 1970s-inspired dresses, lace trim, and denim, and complements the slow fashion trend. Brands like Batsheva, Doen, and the Vampire’s Wife became popular for their frilly, whimsical flowy dresses that fit the cottagecore aesthetic.
푸드 & 가드닝
Food and gardening
홈스테딩(자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활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실천은 자급자족의 코티지코어 철학을 반영한다. 이는 자신의 정원에서 직접 먹거리를 재배하고, 직접 식사를 준비하며, 직접 빵을 굽는 등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코티지코어 가드닝은 환경친화적인 것을 목표로 하며, 종종 퍼머컬처 농업 관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다년생 및 일년생 토종 식물(즉, 거주지 인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재배하면 꿀벌을 비롯한 곤충을 유인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이 증진되고 식량 작물의 수분 작용이 증가한다.
The practices of homesteading reflect the cottagecore philosophy of self-sufficiency. This could include growing one’s own food in one’s own garden, making meals from scratch, and baking one’s own bread. Cottagecore gardening is intended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often including permacultural farming practices. For example, the cultivation of a variety of perennial and annual native plants (i.e. plants endemic to the areas near one’s home) helps attract insects, including bees, and as such promotes biodiversity and increases pollination of food-producing crops.

공예
Crafts
코티지코어 추종자들은 보통 중고, 빈티지, 수공예, 혹은 투박한 초기 형태의 가구를 구입한다. 인기 있는 취미는 퀼트, 뜨개질, 코바늘뜨기 등 자급자족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Followers of cottagecore typically purchase secondhand, vintage, hand-built, or primitive furniture. Popular hobbies are often related to self-sufficiency including quilting, knitting and crochet.
선례와 문화적 맥락
Antecedents and cultural context

코티지코어는 2018년에 이름 붙은 미적 경향으로 등장했지만, 그와 유사한 미학과 이상은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인들이 발전시킨 목가적 장르는 목동과 양치는 여자들이 여가를 즐기는 이상적인 풍경으로서 시골 아르카디아의 특징을 묘사했다. 헬레니즘 시인 테오크리토스(c. (BC 300 – (BC 260)의 작품들은 주로 도시 생활과 관련된 오물과 질병으로부터 육체적 혹은 상상적 탈출을 추구하는 교양 있는 도시 상류층을 대상으로 했다.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BC 70-BC 19)는 목가적 기법을 통해 당대의 문제를 다루며 이 장르를 발전시켰다. 목가적 현실도피는 서기 2세기 이후 『다프니스와 클로에』 같은 소설의 형식으로 로마 제국의 궁정 청중을 위해 계속해서 창작되었다.
While cottagecore arose as a named aesthetic in 2018, similar aesthetics and ideals existed prior to its inception. The pastoral genre developed by the Hellenistic Greeks characterised the rural Arcadia as an idyllic landscape in which shepherds and shepherdesses enjoy leisure. The works of the Hellenistic poet Theocritus were primarily aimed at an educated urban class who sought an escape, physical or imaginative, from the filth and disease associated with city life. The Roman poet Virgil developed the genre by acknowledging contemporary issues through the pastoral device. Pastoral escapism continued to be produced for the courtly audience of the Roman Empire in the format of novels such as Daphnis and Chloe from the second century AD.
14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인 페트라르카(1304-1374)는 목가시 뿐만 아니라 등산과 정원 가꾸기로도 유명했다. 영국의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는 두 편의 목가극, 즉 『뜻대로 하세요』(1623)와 『겨울 이야기』(1611)를 썼다. 또한 크리스토퍼 말로(1564-1593)의 유명한 시 「열정적인 목동이 애인에게」(1599)는 월터 롤리(1552-1618)가 쓴 「목자에게 답하는 님프의 답신」(1600)이라는 시적 응답에 영감을 주었는데, 이 시에서 화자는 아르카디아적 이상이 허상임을 지적한다.
The fourteenth-century Italian Renaissance poet Petrarch was known for his hill-walking and gardening as well as his pastoral poetry. English playwright William Shakespeare wrote two pastoral plays: As You Like It and A Winter’s Tale. Christopher Marlowe’s renowned poem The Passionate Shepherd to His Love inspired a poetic response written by Walter Raleigh, The Nymph’s Reply to the Shepherd, in which the speaker observes that Arcadian ideas were fallacies.
18세기 유럽에서는 종종 고전 건축 양식으로 짓거나 시골 마을을 모방한 장식용 구조물인 폴리를 짓는 게 유행이었다. 마리 앙투아네트(1755-1793)가 조성한 전원형 모형 마을인 여왕의 집(아모 데 라 렌)은 목가풍 폴리의 대표적인 예이다.
In eighteenth-century Europe it was fashionable to build follies, ornamental structures often built in the style of classical architecture or to mimic rustic villages. Marie Antoinette’s Hameau de la Reine, a rustic model village, is a primary example of a folly in a pastoral style.

19세기의 미술공예운동은 산업 생산에 대한 비판으로서 ‘민속적’ 양식과 기법을 수용한 예술, 건축, 디자인에 대한 접근법이었다. 모리스 앤 컴퍼니와 라파엘 전파를 비롯한 여러 빅토리아 시대 기관들이 중세풍 양식을 대중화시켰고, 그 결과 소박하고 토착적인 건축 및 가구 양식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게 되었다.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of the nineteenth century was an approach to art, architecture, and design that embraced ‘folk’ styles and techniques as a critique of industrial production. Several Victorian institutions including Morris & Co. and the Pre-Raphaelite Brotherhood popularised a medievalist style, leading to a revived interest in rustic and vernacular architectural and furnishing styles.
토마스 킨케이드(1958-2012)는 목가적인 오두막 그림 복제본 수백만 점을 판매했다.
Thomas Kinkade sold millions of copies of his paintings of idyllic cottages.
일본의 ‘이키’(초연한 우아함), 독일의 ‘페른베’(방랑벽), 덴마크의 ‘휘게’(만족스러운 아늑함)처럼 특정 국가들에서도 유사한 미적 감각이 존재해왔다.
There have been similar aesthetics in specific countries, such as Japan’s iki (detached elegance), Germany’s fernweh (wanderlust), or Denmark’s hygge (satisfying comfort).
현대의 인기
Contemporary popularity
이 미적 감각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대규모 격리 조치로 인해 2020년에 여러 온라인 공간과 소셜미디어에서 견인력을 얻었다. 블로깅 사이트 텀블러 같은 네트워크에서는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 동안 코티지코어 관련 게시물이 150% 증가했다. 그것은 시각적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플랫폼인 핀터레스트에서 확산되었다. 틱톡에서도 인기를 얻었는데, 수많은 코티지코어 애호가들이 시골 생활을 하거나, 숲속에서 목욕을 하거나, 빵을 굽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유했다.
The aesthetic gained traction in many online spheres and on social media in 2020 due to the mass quarantining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Networks such as the blogging site Tumblr had a 150% increase in cottagecore posts in the three months from March to May 2020. It spread on Pinterest, a platform for sharing visual ideas. It became popular on TikTok as well, with numerous cottagecore enthusiasts sharing videos of themselves living in rural areas, bathing in the forest, or baking bread.
틱톡에서는 LGBTQIA+ 커뮤니티, 특히 레즈비언들 사이에서 코티지코어가 큰 인기를 끌었다. 많은 젊은 여성들이 코티지코어 스타일의 옷을 입으면서도, 동시에 현대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의 전형에 부합한다고 느낀다. 《뉴요커》는 이러한 영상들이 “차분하고, 깨달음을 얻은 듯하며, 아름답게 포장된 생산성의 분위기를 자아냈다”고 주장했다. 《복스》는 이 트렌드를 “격리가 무섭다기보다는 아닌 낭만적인 것으로 느껴지는 미학”이라고 특징지었다.
On TikTok, the LGBTQIA+ community has been particularly fond of cottagecore, especially lesbians. Many young women have found a sense of femininity through dressing in a cottagecore aesthetic while still feeling aligned with a modern, in-control woman archetype. The New Yorker asserted that such videos had “evoked a mood of calm, enlightened, prettified productivity.” Vox characterized the trend as “the aesthetic where quarantine is romantic instead of terrifying.”
코티지코어 스타일로 생활하거나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심리학자 크리스틴 바초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그렇게 불안한 시기에 노스탤지어(향수), 특히 코티지코어가 유행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더 단순한 상황, 더 단순한 시대, 더 단순한 삶의 방식에 대한 갈망은 강도 높은 스트레스의 영향을 상쇄하고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이다.” 이 시기는 많은 도시 거주자들이 과연 도시에서 사는 것이 가치 있는가를 자문하던 때였고, 그 결과 시골 생활이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했다.
Living in the style of cottagecore or simply looking at others doing the same on the Internet was seen as something that could help people de-stress. Speaking to CNN, psychologist Krystine Batcho noted that it should be no surprise nostalgia in general and cottagecore in particular was in vogue during such a stressful time. “Longing for simpler situations, simpler time periods or simpler ways of living is an effort to balance out and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high-intense stress,” she said. This period was when many urban residents questioned whether it was worth living in the cities, and rural life stood as an appealing alternative.
《뉴욕타임스》 기사는 코티지코어를 현실에서 재현한 인기 소셜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인 《동물의 숲(Animal Crossing)》과 비교했는데, 이는 당시 시리즈 최신작 〈모여봐요 동물의 숲: 뉴 호라이즌〉의 성공과 맞물렸다. 2021년 7월에는 〈심즈 4〉가 꽃무늬 프린트, 정원 가꾸기, 닭과 라마 같은 동물 돌보기를 중심으로 한 확장팩 〈코티지 리빙〉을 출시했다.
A New York Times article compared cottagecore to the social simulation video game series Animal Crossing being acted out in real life, coinciding with the success of the then-newest entry in the franchise Animal Crossing: New Horizons. In July 2021 The Sims 4 released an expansion pack called “Cottage Living”, which focuses on floral prints, gardening and tending to animals like chickens and llamas.

미국 뮤지션 테일러 스위프트(1989-)의 2020년 앨범 〈포클로어〉는 이 미학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녀는 후속 앨범 〈에버모어〉(2020)에서도 이 미학을 이어갔으며, 제63회 그래미 어워드 공연에서도 이를 적용했다. 〈카디건〉과 〈윌로우〉 뮤직비디오는 모두 코티지코어 이미지를 담고 있다. 이 스타일을 수용한 다른 유명인으로는 영국 배우 밀리 보비 브라운(2004-), 미국 가수 헤일리 기요코(1991-), 미국 모델 헤일리 비버(1996-), 그리고 영국 축구 선수 데이비드 베컴(1975-) 등이 있다.
American musician Taylor Swift’s 2020 album, Folklore, has been credited with increasing the aesthetic’s popularity. She continued the aesthetic with its follow-up record, Evermore (2020), and applied it to her performance at the 63rd Annual Grammy Awards. The music videos for “Cardigan” and “Willow” both incorporate cottagecore imagery. Other public figures who embraced this style include British actress Millie Bobby Brown, American musician Hayley Kiyoko, American model Hailey Bieber, and English footballer David Beckham.
미국에서는 2020년 연말 시즌 동안 코티지코어가 인테리어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이에 따라 바느질 키트 판매량이 급증했다. 2021년에는 영국 왕립원예학회가 코티지 가드닝을 주요 디자인 양식이라고 언급했다.
In the United States, cottagecore became a decorating trend for the 2020 holiday season, while the sales of needlework kits skyrocketed. In 2021,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noted that cottage gardening was a key design style.
중국에는 자체적인 코티지코어 양식이 존재한다. 이 나라는 경제 발전의 일환으로 급속히 도시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젊은이들이 대학 졸업 후 도시를 떠나 고속 인터넷, 새 도로, 고속철도 등 다양한 장점 덕분에 삶의 질이 향상된 시골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하고 있다. 귀향 청년들 가운데에는 코티지코어에 관심이 많은 건축가들도 포함되어 있다.
China has its own version of cottagecore. Even though the country is rapidly urbanising as part of economic development, many young people have decided to leave the cities after their university studies for their hometowns in the countryside, where the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thanks to, among other things, the availability of fast Internet access, new roads, and high-speed railways. Among the returning youths are cottagecore-minded architects.
비판
Critiques
비평가들에 따르면, 코티지코어는 시골 생활에 대한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으로 미화한 시각을 제공한다. 비평가들은 이 미학에 의해 구축된 목가적인 시골 생활의 묘사와, (실제) 농촌 지역에서 겪는 빈곤이나 위생 문제 등의 현실 사이의 대조를 지적한다. 영국 매체 《스펙테이터》의 라라 프렌더가스트는 “특권층은 항상 단순하고 소박한 것을 갈망해왔다”라고 말하며, 마리 앙투아네트의 모조품-마을에 대해 제기된 역사적 비판을 상기시켰다. 그 마을에서 그녀는 하인들이 마을 유지관리에 필요한 육체노동을 하는 동안 양치기 복장을 하고 있었다.
According to critics, cottagecore offers an unrealistic, romanticised view of rural life. Critics note the contrast between idyllic depictions of rural life constructed by the aesthetic and some of the realities of such spaces, such as the effects of rural poverty or sanitation. Lara Prendergast of The Spectator said “[p]rivileged humans have always hankered for the simple and rustic”, and recalled historical criticisms levied against Marie Antoinette’s mock-village, in which she would dress as a shepherdess while servants performed the manual labour necessary for its upkeep.
《복스》 매거진의 레베카 제닝스는 코티지코어와 다크 아카데미아를 “보수적 가치와 성 역할을 불러일으키는 역사적 미학”이라고 묘사했다. 제닝스와 다른 비평가들은 또한 유럽중심주의와 이성애 규범성의 주제들을 언급했다.
Rebecca Jennings of Vox magazine described cottagecore and dark academia as “historical aesthetics that evoke conservative values and gender roles”. Jennings and others also noted themes of Eurocentrism and heteronormativity.
출처(텍스트): “Hyphen (architecture)”, Wikipedia(영문), 2025-10-14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