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n Foursquare

아메리칸 포스퀘어 또는 아메리칸 포 스퀘어는 189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유행했던 미국의 주택 양식이다. 19세기 후반 내내 유행했던 빅토리아 양식과 다른 리바이벌 양식들의 화려하고 대량-생산된 요소들에 대한 반작용으로, 아메리칸 포스퀘어는 단순했으며, (통신판매용 카탈로그로 구매하지 않는 한) 종종 손으로 만든 “정직한” 목공 세부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스타일은 프레리 학파와 크래프츠맨 스타일의 요소를 통합한다. 그것은 때때로 과도기 양식이라고도 불린다.
The American Foursquare or American Four Square is an American house style popular from the mid-1890s to the late 1930s. A reaction to the ornate and mass-produced elements of the Victorian and other Revival styles popular throughout the la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American Foursquare was plain, often incorporating handcrafted “honest” woodwork (unless purchased from a mail-order catalog). This style incorporates elements of the Prairie School and the Craftsman styles. It is also sometimes called Transitional Period.
이 스타일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박스 디자인, 2.5층 높이, (전형적으로 한두 개의 방만 있는 다락층을 제외하고) 보통 한 층에 네 개의 크고 박스형 방, 중앙의 지붕창, 그리고 넓은 계단이 있는 대형 전면 포치(현관)를 포함한다. 이 박스형 구조는 작은 도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실내 공간을 극대화한다. 다른 흔한 특징으로는 모임 지붕, 공용 공간 사이의 아치형 출입구, 붙박이 수납장, 크래프츠맨-스타일의 목공예가 있다.
The hallmarks of the style include a basically square, boxy design, two-and-one-half stories high, usually with four large, boxy rooms to a floor (with the exception of the attic floor, which typically has only one or two rooms), a center dormer, and a large front porch with wide stairs. The boxy shape provides a maximum amount of interior room space, to use a small city lot to best advantage. Other common features included a hipped roof, arched entries between common rooms, built-in cabinetry, and Craftsman-style woodwork.
전형적인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1층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볼 때 한쪽에는 거실과 식당이, 반대쪽에는 현관 또는 포이어, 계단, 그리고 주방이 배치된다. 때때로 1층에 욕실이 포함되기도 했다. 2층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볼 때 한쪽에는 침실–욕실–침실이, 다른 쪽에는 침실–계단–침실이 놓인다. 이때 위층 욕실은 일반적으로 주방 바로 위에 위치해, 배관이 (수직으로) 직접 연결되도록 했다. 침실들은 집의 앞뒤 방향으로 약간 더 긴 형태를 띠며, 각 침실 사이에는 나란히 붙은 벽장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각 모서리에 침실이 하나씩, 중앙에는 욕실과 계단이 자리하는 매우 효율적인 평면 구성을 만들었다. 꼭대기층은 본질적으로 다락에 해당하며, 1~4개의 지붕창이 있는 넓은 개방형 공간으로 되어 있었다. 이 다락은 마감하여 생활 공간으로 쓰기도 하고, 단순한 저장용 공간으로 남겨두기도 했다. 지하층에는 일반적으로 자연 대류식 난로 또는 보일러가 있었으며, 배기 가스는 집 중앙을 관통하는 굴뚝을 통해 배출되었는데, 이 굴뚝은 동시에 주방의 조리용 배기 역할도 겸했다.
A typical design would be as follows: first floor, from front to back, on one side, the living room and dining room; while on the other side, the entry room or foyer, stairway and kitchen. Sometimes a bathroom was also included. Second floor, front to back, on one side, bedroom, bathroom and bedroom; while on the other side, bedroom, stairway and bedroom. The upstairs bathroom would generally be placed above the kitchen, so that the plumbing could run directly from one to the other. The bedrooms had a slightly longer dimension along the front and back of the house with side-by-side closets between the bedrooms. This gave a very efficient layout, with a bedroom in each corner and a centralized bathroom and stairway. The top floor was generally just a big open space with one to four dormers, essentially an attic, whether finished into living space or not. The basement generally contained a large natural convection furnace or boiler, exhausting to a chimney running upwards through the center of the house, which also provided exhaust for the stove.
모델
Models
포스퀘어 주택은 벽돌과 목재 골조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지어질 수 있다. 후기 모델에는 붙박이 선반 및 기타 편의시설이 포함된다. 이들 주택은 주로 미국 중서부 지역의 오래된 도시 근교, 특히 전차 교외 지역에 대규모로 분포되어 있지만, 이 디자인 방식은 모든 곳에서 사용되었다.
Foursquare houses may be built with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bricks and wood frames. Later models include built-in shelves and other amenities. Large tracts of these homes exist in older Midwestern urban neighborhoods, particularly streetcar suburbs, but the design was used everywhere.
전차 교외 (지역) 내 다른 양식들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비교적 좁은 부지에 잘 맞도록 만들어졌으며, 다층으로 되어 있어, 더 작은 면적에 더 많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아메리칸 포스퀘어 양식은 때때로 새로운 개발지에서 되살아나곤 하지만, 그 매력은 완전한 정통이 아니라 “전통적인 외관을 지닌” 스타일로서, 종종 현대식 2대용 차고 등 오리지널에는 없는 기타 기능을 포함하며, 전형적으로 더 넓은 부지에 지어진다.
As with other styles in streetcar suburbs, it was tailored to relatively narrow lots, and was multi-story, allowing more square footage on a smaller footprint. The American Foursquare style is occasionally revived in new developments, although its appeal is as a “traditional-looking” style rather than a fully authentic one, often including modern two-car attached garages and other features absent in originals, and typically built on larger lots.

역사
History
아메리칸 포스퀘어 또는 “프레리 박스”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개척한 프레리 건축과 많은 기능을 공유하는, 포스트-빅토리안 양식이었다.
The American Foursquare or “Prairie Box” was a post-Victorian style, which shared many features with the Prairie architecture pioneered by Frank Lloyd Wright.
1900년대 초반과 1910년대에, 라이트는 로버트 M. 램프 하우스, “5000달러짜리 내화 주택”, 아메리칸 시스템-빌트 홈을 위한 여러 2층 모델을 포함하여, 포스퀘어 스타일에 대한 자신만의 번형을 디자인하기도 했다. 이 스타일의 다른 주택들과 달리, 라이트의 버전은 입구, 거실, 식당 사이의 파티션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더 개방적인 1층 평면을 특징으로 한다. 그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월터 벌리 그리핀 같은 다른 프레리 학파 건축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어 유사한 포스퀘어 스타일 주택을 디자인하도록 영향을 끼쳤다.
During the early 1900s and 1910s, Wright even designed his own variations on the Foursquare, including the Robert M. Lamp House, “A Fireproof House for $5000”, and several two-story models for American System-Built Homes. Unlike other houses of the style, Wright’s versions featured more open main floor plans achieved by removing or minimizing partitions between the entry, living room, and dining room. He in turn inspired other Prairie School architects, such as Walter Burley Griffin, to design similar Foursquares in the following decades.
20세기 초 수십 년 동안 아메리칸 포스퀘어 양식의 지역적 변형들이 등장했다. 캔자스시티에서는 셔트웨이스트-스타일이 등장했는데, 1층은 벽돌이나 석회암으로, 2층과 3층은 사이딩으로 마감되었다. 이 스타일의 명칭은 당시 유행하던 하이웨이스트(허리선 높은) 여성복에서 따온 것이다.
Other variations on the American Foursquare emerged regionally during the first decades of the 20th century. In Kansas City, the Shirtwaist-style emerged, with a brick or limestone first floor and siding-wrapped second and third floors. The style is named for the higher-waisted women’s fashion of the time.
후기의 포스퀘어 스타일은 개방형 평면, 많은 빌트인, 벽난로가 있는 방갈로와 유사한 내부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사례들은 기와 지붕, 처마선 버팀대, 또는 크래프츠맨 양식,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 미션 건축 양식에서 끌어낸 기타 디테일들로 마감되어 있다.
Later Foursquares often had the same type of interiors as bungalows, with open floor plans, many built-ins, and fireplaces. Many examples are trimmed with tiled roofs, cornice-line brackets, or other details drawn from Craftsman, Italian Renaissance, or Mission architecture.
통신 판매 시대
Mail-order era
포스퀘어 스타일은 캘리포니아 방갈로와 함께 통신 판매 시대에 인기 있는 양식이었다. 주택을 주면하면, 조립 설명서와 모든 부품이 미리 절단되고 번호가 매겨진 상태로 유개화차에 실려 왔다. 이들 주택은 특히 이 시대에 건설된 철도-노선 인근 주택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가장 큰 통신 판매 주택 카탈로그 회사로는 ‘시어스’와 ‘알라딘’이 있었다.
The Foursquare was a popular mail-order era style along with the California bungalow. When one was ordered, it came in a boxcar with a book of directions and all the parts pre-cut and numbered for self-assembly. These homes are particularly common in neighborhoods near rail-lines built in this era. The largest mail-order house catalog companies were Sears and Aladdin.
출처(텍스트): “American Foursquare”, Wikipedia(영문), 2025-10-24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