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ruvian module

모듈(척도, 표준단위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모둘루스’에서 유래)은 로마 시대 건축가들 사이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기둥 밑단의 반지름에 해당한다. 이 용어는 비트루비우스(c. BC 80-70 – c. BC 15)가 그의 저서 『건축십서』(제4권 3장)에서 처음 제시했으며, 이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들이 고전 건축 오더(주범 양식)의 다양한 부분들 간의 상대적 비례를 결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16세기 이론가들은 이 모듈을 30등분하여 ‘분’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비트루비우스가 일반적으로 6등분 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큰 정밀도를 가능하게 했다.
A module (Latin modulus, a measure) is a term that was in use among Roman architects, corresponding to the semidiameter of the column at its base. The term was first set forth by Vitruvius (book iv.3), and was employed by architects in the Italian Renaissance to determine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he various parts of the Classical orders. The module was divided by the 16th century theorists into thirty parts, called minutes, allowing for much greater precision than was thought necessary by Vitruvius, whose subdivision was usually six parts.
영국의 건축가 아이작 웨어(1704-1766)는 『안드레아 팔라디오 건축에 대한 4서』(런던, 1738; 삽화, 우측)에서 팔라디오를 설명하며, 도릭 오더를 모듈식 구성의 사례로 제시했다. 그가 선택한 모듈은 기둥 밑단에서 측정한 기둥 전체 지름이었다. 그는 기둥의 높이를 15 모듈, 기둥 사이 간격을 5½ 모듈, 코니스를 제외한 아키트레이브와 프리즈를 1 모듈로 설정했다.
When illustrating Palladio, the British architect Isaac Ware (The Four Books of Andrea Palladio’s Architecture, London 1738; illustration, right) laid out the Doric order as an exercise in modular construction. The module he selected was a full column diameter taken at the base. He set his columns, 15 modules tall, at an intercolumniation of 5½ modules. His architrave and frieze, without the cornice, are equal to one module.
보자르 건축 교육의 경향은 마찬가지로 기둥이나 엔타블러처 또는 그 일부의 높이를 결정할 때, 기둥 전체 지름을 모듈로 채택하는 것이었다.
The tendency in Beaux-Arts architectural training was similarly to adopt the whole columnar diameter as the module when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column or entablature or any of their subdivisions.
따라서 모듈은 더 일반적으로 전체의 측정 단위를 제공하는 단일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분야에서는, 수업을 모듈로 나눌 수 있다.
Thus module can be extended to mean more generally a unitary part that gives the measuring unit for the whole. In education, for example, lessons may be divided into modules.
출처(텍스트): “Vitruvian module”, Wikipedia(영문), 2024-3-28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