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ity (architecture)
건축에서의 물질성은 건축이라는 매체에서 다양한 재료나 물질을 적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자체를 개념화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이전에는 건축에서 부차적인 고려 사항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디지털 패브리케이션과 디지털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Materiality in architecture is a concept or the applied use of various materials or substances in the medium of building. This concept was previously regarded as a secondary consideration in architecture but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element due to advances in digital fabrication and digital science.
이 개념은 건축가의 신체와 감각이 물리적인 작업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현실화되며, 건축 실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건축 시스템의 거버넌스와 참여에 관한 중요한 측면들을 규정한다.
The concep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rchitectural practice, which is actualized through the body and senses of an architect interacting with his physical work environment. It defines critical aspects concerning the governance and engagement of an architectural system.
재료와 물질성
Material and materiality
건축 시스템은 재료라고 불리는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 정의된다. 이 재료들은 건축적 비전을 분명하게 표현하는 언어로서 역할을 하거나 건축적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재료에 대한 인식은 건축가에게 필수 요건으로 간주된다.
Architectural systems are defined by its physical components called materials. These materials serve as the language that articulate architectural vision or that it serves to make architectural ideas tangible. Consciousness of materials is, therefore, considered a requirement for architects.
재료는 건축 디자인에서 상대적인 용어이므로, (사진, 이미지, 텍스트 등) 가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재료나 자연적인 다른 재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재료는 이 두 가지의 결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플라스틱 위에 이미지를 인쇄하여 만든 특정 베니어판이 이것의 좋은 예이다. 따라서 관찰상, 가상 재료는 자연적인 물리적 기질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상 재료와 자연 재료를 구분하는 것은 정신 및 인식의 어떤 측면과 더불어, 그것들을 생산하는 재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두 가지 유형의 재료를 구별하는 것이 (그들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축 과정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물질의 물질적인 상태와 디지털 재료의 비물질성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반면, 디지털 특성이 물질성을 점점 더 풍부하게 하는 통합에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도 있다.
Material is a relative term in architectural design and so may be used to designate materials which are considered to be virtual, (such as photographs, images or text)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natural. Some materials may be considered as combinations of the two. Certain veneers which are composed of images printed on plastic are a good example of this. Observationally, therefore, virtual materials can be said not to exist without a natural physical substrate. Therefore, what separates a virtual material from a natural one is some aspect of the mind and perception as well as a process of representation to produce them. For some, distinguishing these two types of materials is relevant in the process of building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This is highlighted in the case of problems arising from reconciling the physicality of matter and the intangibility of digital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ose who focus on integration where digital characteristics increasingly enrich materiality.
건축에서의 물질성은 이미지, 텍스트 또는 기타 재현 대상의 지각된 물질성에 대한 이론적인 입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된 전체 재료 범위를 고려할 때 특정 프로젝트의 물질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물질성은 건축이 건축 자재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상황과, 재료가 자신의 성질과 특징을 표현하여 그들의 특성이나 매력이 드러나게 하는 방식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이는 최근 물질성에 대한 이해에서 재료가 건축을 위한 사회적, 경제적 맥락 안에 국한되는 것과 달리, 건축을 만드는 과정에서 능동적인 요소로 간주되게 된 방식에서도 입증된다.
Materiality in architecture is not limited to theoretical positions on the perceived materiality of images, texts, or other objects of representation. It could denote the materiality of specific projects when considering the full range of materials used. It has also been described as the circumstance that architecture is realized using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how a material expresses its properties and idiosyncrasies, allowing their characteristics or appeal to emerge. This is also demonstrated in the way material – in recent understanding of materiality – came to be consider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rocesses of making architecture as opposed to being con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social and economic context for architecture.
건축의 물질성에 대한 논의는 일반적으로 건축 설계에서의 구조적, 미학적 관심사와 동의어이며, 대개 각 프로젝트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인 논의에는 건축의 물질성이 사회 생활을 지탱하는 흐름의 과정을 어떻게 창출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제니퍼 블루머의 프로젝트에서 소개된 페미니즘적 프레임워크 같은 다른 현대적인 해석들도 있는데, 이는 상상적 서사가 탐구되는 은유적인 장소를 보여주었다.
Discussions on the materiality of architecture are usually synonymous with structural and aesthetic concerns in architectural design and are typically unique with each project. Specific discussions include how the materiality of architecture creates the process of flows that sustain social life. There are other modern interpretations such as the feminist framework introduced in Jennifer Bloomer’s projects, which demonstrated metaphoric sites where imaginative narratives are explored.
비물질성
Immateriality
최근 물질성에 대한 개념화는 현대 건축의 “비물질성”을 언급하며, 이는 주로 가상 재료의 사용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담론은 들뢰즈(1925-1995)의 철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들뢰즈는 가상적인 것을 “모든 대상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즉 실재도 아니고 단순히 그것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아닌, 그것으로 상상되는 것으로 묘사한다. 폴 비릴리오(1932-2018)의 “뉴 윈도우”라는 개념은 컴퓨터 단말기와 관계가 있으며 비디오를 건축 요소로 규정하는데, 이에 따르면 건축은 비물질화된 형태를 취하며, 미학적 소멸이 시작되면서 차원들이 상실된다. 이 비유는 “텔레매틱스가 출입구를 대체하고”, “픽셀이 빗장을 대체한다”는 것입니다. 앤 프리드버그(1952-2009)에 따르면, 가상 개념은 다른 세계로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프레임을 통해 작동하며, 이는 물질성이 프레임의 한쪽에, 그리고 비물질성이 다른 쪽에 위치하는 특성을 구현한다.
Recent conceptualizations of materiality cites an “immaterial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is mainly based on the use of virtual material. This discourse draws from the Deleuzian philosophy, which describes virtual as “what every object carries with it” one that is neither its reality nor merely what it could have been but what it is imagined to be. Paul Virilio’s notion of the “new window”, which pertains to computer terminals and designates video as an architectural element, architecture assumes a dematerialized form, where dimensions are lost with the onset of aesthetic disappearance. The analogy is that “telematics replaces the doorway” and “pixel replaces the bolt”. According to Anne Friedberg, the virtual concept operated through a frame that serve as a portal to another world, rendering a characterization where materiality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immateriality on the other.
- 출처: “Materiality (architecture)”, Wikipedia(영문), 2024-9-14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 에디터: 건축편집자
-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