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Babylon
뉴 바빌론은 1959~74년에 시각 예술가인 콘스탄트 니우엔하위스가 미래의 가능성으로 인식하고 디자인한 반-자본주의적 도시이다.
New Babylon is an anti-capitalist city perceived and designed in 1959-74 as a future potentiality by visual artist Constant Nieuwenhuys.
명칭의 유래
Origin of the name
처음에는 데리빌(“빌 데리비”, 문자 그대로, “부유 도시”)로 알려졌는데, 나중에 ‘뉴 바빌론’으로 개명되었다. 앙리 르페브르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뉴 바빌론 — 기독교 전통에서 바빌론은 악의 상징이기 때문에, 도발적인 이름이다. 뉴 바빌론은 저주받은 도시의 이름을 받아들이고 미래의 도시로 변모하는 선의 상징이 될 것이다.”
Initially known as Dériville (from “ville dérivée”, literally, “drift city”), it was later renamed New Babylon. Henri Lefebvre explained: “a New Babylon — a provocative name, since in the Christian tradition Babylon is a figure of evil. New Babylon was to be the figure of good that took the name of the cursed city and transformed itself into the city of the future.”
목표 및 근거
Goal and rationale
목표는 “상황”이라 불리는, 대안적인 삶의 경험을 창조하는 것이었다고, 사라 윌리엄스 골드하겐(1959~)은 설명했다:
The goal was the creating of alternative life experiences, called “situations”, Sarah Williams Goldhagen explained:
[1950년대, 콘스탄트는] 혁명-이후 사회의 형태를 묘사하는 회화, 스케치, 글, 그리고 건축 모형으로 구성된 “뉴 바빌론” 시리즈를 이미 수년 간 작업해 왔다. 콘스탄트의 뉴 바빌론은 일련의 연결된 변형가능한 구조물이었으며, 그중 일부는 건축가들이 메가스트럭처라고 부르는, 그 자체가 작은 도시 크기였다. 지상 위에 우뚝 선, 콘스탄트의 메가스트럭처들은 말 그대로 부르주아 대도시를 아래에 그대로 두고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로 채워질 것이다. (호모 루덴스는 네덜란드의 위대한 역사가 요한 하위징아의 책 제목이다.) 뉴 바빌론에서는, 노동, 가정 생활, 시민적 책임에 대한 부르주아적 족쇄는 폐기될 것이다. 혁명-이후의 개인은 새로운 감각을 찾아서 한 여가 환경에서 다른 여가 환경으로 방황할 것이다. 그는 누구에게도 얽매이지지 않고, 그가 원하는 어디서든 언제든 자고, 먹고, 즐기고, 아이를 낳을 것이다. 자아-실현과 자기-만족은 콘스탄트의 사회적 목표였다. 연역적 추론, 목표-지향적 생산, 정치 공동체의 건설과 향상 등 이 모든 것이 기피되었다.
[In the 1950s, Constant] had already been working for years on his “New Babylon” series of paintings, sketches, texts, and architectural models describing the shape of a post-revolutionary society. Constant’s New Babylon was to be a series of linked transformable structures, some of which were themselves the size of a small city–what architects call a megastructure. Perched above ground, Constant’s megastructures would literally leave the bourgeois metropolis below and would be populated by homo ludens–man at play. (Homo Ludens is the title of a book by the great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 In the New Babylon, the bourgeois shackles of work, family life, and civic responsibility would be discarded. The post-revolutionary individual would wander from one leisure environment to another in search of new sensations. Beholden to no one, he would sleep, eat, recreate, and procreate where and when he wanted. Self-fulfillment and self-satisfaction were Constant’s social goals. Deductive reasoning, goal-oriented production, the construction and betterment of a political community–all these were eschewed.
니우엔하위스의 뉴 바빌론은 건축 자체가 일상적인 현실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촉진할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했다. 니우엔하위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
Nieuwenhuys’ New Babylon was based on the idea that architecture itself would allow and instigate a transformation of daily reality. As Nieuwenhuys wrote:
일생 동안 자신의 시간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원하는 곳에 원할 때 자유롭게 갈 수 있는 사람은, 시계와 일정한 거처의 강제적인 원칙에 의해 지배되는 세상에서 자신의 자유를 최대한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삶의 방식으로써, 호모 루덴스는, 무엇보다도, 놀이에 대한, 모험에 대한, 이동성에 대한 욕구뿐만 아니라 자기 삶의 자유로운 창조를 촉진하는 모든 조건에 부응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그때까지, 인간의 주된 활동은 자연 환경의 탐구였다. 호모 루덴스 자신은 자신의 새로운 필요에 따라 그 환경과 그 세계를 변형하고 되살리려고 노력할 것이다. 호모 루덴스는 자신이 탐구할 영역을 만들 때, 자신의 창조물을 탐구하는 데 전념할 것이기 때문에, 그때 환경의 탐색과 창조는 서로 맞물려 진행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는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창의성에 의해 유지되는, 중단 없는 창조와 재창조의 과정에 함께하게 될 것이다.
It is obvious that a person free to use his time for the whole of his life, free to go where he wants, when he wants, cannot make the greatest use of his freedom in a world ruled by the clock and the imperative of a fixed abode. As a way of life, Homo Ludens will demand, firstly, that he responds to his need for playing, for adventure, for mobility, as well as all the conditions that facilitate the free creation of his own life. Until then, the principal activity of man had been the exploration of his natural surroundings. Homo Ludens himself will seek to transform, to recreate, those surroundings, that world, according to his new needs. The exploration and creation of the environment will then happen to coincide because, in creating his domain to explore, Homo Ludens will apply himself to exploring his own creation. Thus we will be present at an uninterrupted process of creation and re-creation, sustained by a generalized creativity that is manifested in all domains of activity.
출처(텍스트): “New Babylon (Constant Nieuwenhuys)”, Wikipedia(영문), 2025-9-18 버전 · 영구 링크 · 역사
저자: Wikipedia 기여자들 (역사에서 보기)
라이선스: CC BY-SA 4.0 · 변경 사항: 한국어 번역·편집
에디터: 건축편집자
본 페이지의 번역·편집본 역시 CC BY-SA 4.0으로 배포됩니다.